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ESTJ와 INFP, 현실주의자와 몽상가의 사랑
    MBTI로 보는 연애 2025. 4. 10. 14:00
    반응형

    MBTI 궁합으로 보는 이성 이해

    ESTJ와 INFP, 현실주의자와 몽상가의 사랑

    사랑이라는 건 참 오묘한 거 같아. 전혀 다른 두 사람이 끌리고, 그렇게 사랑이 시작되기도 하잖아. 오늘 우리가 이야기할 두 사람도 그런 관계야. 하나는 철저한 현실주의자, 계획 세우고 실천하기에 진심인 사람. 그리고 또 하나는 따뜻한 감성을 품고 사는 몽상가, 자신의 가치와 감정을 소중히 여기는 사람. 바로 ESTJ와 INFP 이야기야.
    ESTJ는 MBTI 16유형 중에서도 가장 똑 부러지는 리더형이야. 책임감 강하고, 뭔가를 ‘이뤄내는’ 걸 좋아하지. 반면 INFP는 이상주의자이자 감성의 끝판왕! 조용히 자신의 세계를 지켜나가며, 타인의 감정에도 깊은 공감을 해. ➤ 그런데 이 둘이 사랑하게 된다면 어떨까?
    과연 서로를 이해할 수 있을까? 아니면 끊임없는 충돌 속에 지쳐버릴까? 오늘은 이 현실과 꿈 사이, 너무도 다른 두 사람의 사랑 이야기 속으로 들어가보자.

     

    1. ESTJ와 INFP의 성향 차이, 정반대의 세계

    먼저 이 둘의 성향을 조금 더 자세히 들여다보자. ESTJ는 대체로 외향적이고 체계적인 걸 좋아해. 문제 해결 능력도 뛰어나고, 리더십도 강해서 조직 안에서 중심을 잘 잡는 편이지. ‘현실적인 문제’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정답’이 존재한다고 믿는 스타일이야.
    반면 INFP는 내향적이고 감정 중심적이야. 자신의 내면 세계를 아주 중요하게 여기고, 타인의 아픔이나 기쁨에도 민감하게 반응하지. 정답보다는 ‘의미’와 ‘가치’를 중시하는 타입이야. ➤ 이 둘의 가장 큰 차이는 '현실 중심'과 '이상 중심'의 충돌이야.
    ESTJ는 감정보다 논리를, 감성보다 결과를 중시해. 반면 INFP는 결과보단 과정 속에서의 진정성과 마음을 중요하게 보지.

     

    2. 이 둘이 끌리는 이유 부족한 걸 채워주는 매력

    그런데도 이 둘은 꽤 자주 서로에게 끌려. 왜일까? 이유는 간단해. ➤ 서로에게 없는 걸 갖고 있어서야. ESTJ는 INFP의 부드럽고 따뜻한 면에 이끌려.
    자기 기준에만 갇혀 있던 시야를 넓혀주고, 감정의 풍부함을 느끼게 해주거든. INFP는 ESTJ의 단단한 추진력과 보호받는 듯한 안정감에 마음을 뺏기지. 내면적으로 불안이 많은 INFP에겐 ESTJ의 ‘확신 있는 태도’가 큰 위로로 다가올 수 있어. 서로 너무 다르지만, 그 다름 속에서 호기심과 감탄을 느끼게 되는 거지.

     

    3. 현실에서 마주치는 어려움들

    하지만 사랑이란 게, 끌림만으론 오래가기 힘들잖아. ESTJ와 INFP가 현실에서 부딪히는 대표적인 문제들도 있어.
    첫째, 감정 표현 방식의 차이 INFP는 말보다 ‘느낌’으로 감정을 전달하고 받아들이는 편이야. 하지만 ESTJ는 직접적으로 표현하지 않으면 이해를 못 해.
    이 차이 때문에, “왜 말 안 해?”, “왜 내 맘 몰라줘?” 하는 갈등이 생길 수 있어.
    둘째, 갈등 상황에서의 태도 ESTJ는 문제를 해결하려고 바로 정리하려는 스타일이고, INFP는 감정이 정리될 때까지 시간을 필요로 해. 그래서 ESTJ는 답답하고, INFP는 몰아붙이는 것처럼 느낄 수 있어.
    셋째, 생활 방식의 차이 계획적인 ESTJ는 즉흥적인 INFP를 이해 못 할 수도 있어. 반대로 INFP는 너무 통제하려는 ESTJ가 부담스러울 수도 있지.

     

    4. 잘 지내기 위한 팁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둘이 잘 지내고 싶다면 어떤 노력이 필요할까?
    1. 서로의 언어를 배워야 해. INFP는 표현하지 않으면 모른다는 걸 인지하고, 감정을 말로 풀어보려 노력해봐. ESTJ는 말이 부족해도 표정과 분위기를 읽는 연습이 필요해.
    2. 감정의 타이밍을 맞추는 연습 갈등이 생겼을 땐, ESTJ는 기다려주는 법을 배우고, INFP는 회피하지 않고 대화에 참여해줘야 해.
    3. 서로의 삶을 존중하기 자유로운 INFP에게 지나친 간섭은 스트레스가 되고, 체계적인 ESTJ에게 무계획은 불안함을 줄 수 있어. 서로의 방식이 틀린 게 아니라 다르다는 걸 이해하고 조율하는 게 중요해.
    결국 사랑은 ‘같은 사람끼리’만 잘 되는 게 아니라 ‘다른 사람끼리’ 얼마나 이해하고 맞춰가느냐에 달려 있는 것 같아. ESTJ와 INFP, 정말 많이 다른 두 사람이지만 그 다름 속에서 배울 것도, 성장할 것도 참 많아. ESTJ는 INFP를 통해 세상을 더 부드럽고 넓게 볼 수 있고, INFP는 ESTJ를 통해 세상과의 연결 고리를 튼튼히 만들 수 있어.
    서로를 고쳐 쓰려 하지 말고,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연습
    서로를 가르치려 하지 말고, 함께 배우려는 태도 이 마음가짐만 있다면, 현실주의자와 몽상가의 사랑도 충분히 가능하지 않을까?
    Key Points
    - ESTJ와 INFP는 매우 다른 성향을 가진 MBTI 유형이지만, 서로에게 없는 매력을 느낄 수 있어요.
    - 감정 표현, 갈등 대응 방식, 생활 습관에서 큰 차이를 보이므로 의사소통과 이해가 핵심이에요.
    - 서로의 언어를 배우고, 감정 타이밍을 맞추며, 다름을 존중하는 노력이 필요해요.
    - 사랑은 닮아서가 아니라, 다름을 함께 걸어가는 과정이니까요.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